조금씩 꾸준히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조금씩 꾸준히

  • 분류 전체보기 (32)
    • Network (8)
    • Opensource (18)
      • Linux (9)
      • ELK (2)
      • k8s (4)
      • Docker (2)
    • LN (3)
      • Go (0)
      • Rust (3)
    • 기타 (3)
  • 홈
  • 태그
  • 방명록
반응형
STP(Spanning Tree Protocol) 개념 및 동작, STP 상태, BPDU 프레임

STP(Spanning Tree Protocol) 개념 및 동작, STP 상태, BPDU 프레임

1. STP(Spanning Tree Protocol) 개념STP(Spanning Tree Protocol)이란?이더넷 프레임을 주고 받는 2계층 프로토콜로, *루프(Loop)*가 발생하는 구조에서 스위치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차단(Block)시켜 루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동작 중인 스위치의 포트가 Down이 되면, 차단(Block) 상태였던 포트를 다시 전송 상태로 바꾸어 통신이 끊기지 않도록 한다.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경로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라 한다.루프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에서는 반드시 STP를 활성화 시켜야 함 이렇게만 써놓으면 STP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겐 다소 어렵게 느껴지고 도대체 무슨말인지 전혀 와닿지 않을 것이..

  • format_list_bulleted Network
  • · 2024. 9. 21.
  • textsms
반응형
  • navigate_before
  • 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32)
    • Network (8)
    • Opensource (18)
      • Linux (9)
      • ELK (2)
      • k8s (4)
      • Docker (2)
    • LN (3)
      • Go (0)
      • Rust (3)
    • 기타 (3)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리눅스커널
  • #elk모니터링시스템
  • #kind 쿠버네티스
  • #kind kubernates
  • #windows 포트포워딩
  • #러스트프로그래밍
  • #Rust
  • #rustc
  • #러스트
  • #kubernetes 포트포워딩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반응형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