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G 다운로드 및 설치, 이미지 사용법, 웹(Web) UI 접속

반응형
  1. EVE-NG 다운로드 및 설치
  2. EVE-NG 이미지 사용법
  3. EVE-NG 웹(Web) UI 접속

 

오늘은 네트워크 엔지니어로 일할 때 가장 많이 사용했던 eve-ng 설치 및 사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Linux가 익숙한 분들은 설치가 간단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필자는 당시 Linux를 잘 몰라서 설치하는 데 굉장히 애를 많이 먹었던 기억이 있다. 누구나 처음은 있으니 설치가 처음인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시작!

 

 

 EVE-NG란?

EVE-NG(Emulated Virtual Environment - Next Generation)은 가상 환경에서 네트워크 장비와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고 실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네트워크 에뮬레이터다. EVE-NG는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벤더(예: Cisco, Juniper, Palo Alto, Fortinet 등)의 가상 이미지와 함께 사용되며,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가상으로 구축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쉽게 말하면, Linux 환경에 EVE-NG 설치를 하고 웹으로 접속을 하면 실제 물리 장비없이도 네트워크 환경을 간단하게(?) 구축하고 테스트 해볼 수 있다. 물론 가상 이미지에서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수나 몇몇 기능에 제한이 있을 수 있는데, 그래도 실무에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

 

 

EVE-NG 설치 준비물

  • PC: EVE-NG를 설치할 컴퓨터 (최소 8GB RAM 권장)
  • VMware Workstation Player: 가상 머신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무료 버전 사용 가능 / Virtual Box도 가능한데, 필자는 워크스테이션을 쓰고있어서 워크스테이션으로 소개할 예정)
  • EVE-NG 이미지 파일: EVE-NG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아래 설치 방법에 링크 있습니다.)

 

1. EVE-NG 다운로드 및 설치
 

Download -

Download Links and info for EVE-NG                              EVE-NG Professional/Learning Center Version 6.2.0-6 This edition requires to buy license. To buy a license please go to our Buy …

www.eve-ng.net

위 링크로 들어간 다음, 'Free EVE Community Edition Version' 항목에서 EVE-NG ISO를 받아준다.

(아래 사진에 있는 두 개의 링크 중 아무 링크에서나 받아도 됩니다.)

etc-image-0

 

eve-ng 사이트에서 아래의 Windows Client Side 패키지 파일도 받아서 설치해두자.

etc-image-1

 

그리고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아래의 'VM Ware Workstation Player' 링크로 들어가서 다운로드 해준다. (공식사이트에서 찾기가 어려워서 어찌저찌 다른 링크를 가져왔는데.. 찝찝하면 공식 링크에서 다운해주세요.)

 

CDS Repository - /var/www/public/stage/session-120/cds/vmw-desktop/player

 

softwareupdate.vmware.com

 

 

 

가상 머신과 EVE-NG 이미지 설치가 끝났다면, 워크스테이션을 실행한 뒤 'Open a Virtual Machine'을 눌러준다.

EVE-COM-* 이라고 저장되어있는 OVF파일(가상 머신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을 열어준다.

etc-image-2etc-image-3

 

 

Name은 그냥 'EVE-NG'로 적어주면 되는데, 나는 이미 생성해둔 이미지 파일이 있어서 test로 지었다. EVE-NG로 적어준 다음 Import를 눌러 꽤나 오래 걸리는 로딩을 기다려준다.

etc-image-4etc-image-5

 

워크스테이션에 eve-ng 이미지 설치가 끝나면 목록에 뜨게 되는데, 우클릭해서 Power on 하기 전에 Settings 먼저 들어가준다. (설치 화면이 조금씩 다를 수 있는데, RAM은 최소 8GB, 디스크 용량은 20~30GB정도 해주면 된다. 필자는 랩을 많이 구성하는 편이라 60GB로 잡음)

etc-image-6
etc-image-7etc-image-8

 

OK를 누르고 더블클릭으로 실행하면 가끔 아래처럼 에러가 날 때 있는데, CPU의 가상화 기능이 켜져있지 않을 때 뜨는 메시지다. 

etc-image-9etc-image-10

 

EVE-NG 'Virtualized Intel VT-x/EPT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Continue without virtualized Intel VT-x/EPT?' 메시지 뜰 때 해결법

 

1. BIOS에서 가상화 기술 활성화하기

  • PC 재부팅: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 BIOS 설정 진입: 부팅 과정에서 F2, F10, Delete 또는 Esc 키를 눌러 BIOS 설정 화면에 들어갑니다. (제조사에 따라 키가 다를 수 있습니다.)
  • 가상화 설정 찾기:
    • BIOS 메뉴에서 "Advanced" 또는 "Configuration" 섹션을 찾습니다.
    • "Intel Virtualization Technology", "Intel VT-x", "Intel VT-d", 또는 "AMD-V"라는 옵션을 찾습니다.
  • 가상화 활성화: 해당 옵션을 "Enabled"로 변경합니다.
  • 변경사항 저장 및 종료: 변경사항을 저장한 후 BIOS를 종료하고 재부팅합니다.

 

2. 1번 방법으로 해결이 안되면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Hyper-V 체크를 해제한 후 재부팅해준다.

etc-image-11

3. 그래도 안되면 EVE-NG 이미지 Settings -  ProcessorsVirtualize Intel Vt-x/EPT or AMD-V/RVI 체크 해제해주면 된다.

 

etc-image-12etc-image-13

그럼 실행 시 eve 로고와 함께 로그인하는 화면이 뜨는데, eve-ng 초기 비밀번호는 root / eve 다.

가상화 관련 경고 메시지가 뜰 수 있는데, 일단 무시하자.

 

최초 접속 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해줘야 한다. 필자는 admin 으로 변경했는데, 본인 편한 걸로 하면 된다.

etc-image-14etc-image-15

 

EVE-NG에서 사용할 ip를 dhcp 방식으로 설정할지, static으로 설정할지 뜨는데, 화살표로 이동하고 스페이스를 누르면 선택이 된다. OK로 넘어갈 땐 엔터 누르면 된다. 필자는 일단 dhcp로 함

 

 

 

스크린샷 2024-08-11 150144.png

 

시간 동기화를 위한 NTP 서버의 ip 주소를 적는 칸인데 그냥 비워놔둬 되고, 아래처럼 8.8.8.8(구글)로 설정해도 된다.

스크린샷 2024-08-11 150156.png

 

아래는 그냥 OK 해주고 넘어가면 설치 끝!

스크린샷 2024-08-11 150206.png

 

아마 새로 변경된 root 계정으로 재접속하라고 뜰텐데, root / 바꾼 비밀번호 입력해주면 된다.

그럼 아래처럼 사설ip인 192.168.75.189로 dhcp를 통해 할당받은 화면을 볼 수 있다.

eve-ng 웹을 접속할 때 http://본인 eve-ng ip/ 로 접속하면 된다.

etc-image-19

 

인터넷에 접속해서 본인의 eve-ng ip를 입력하면 Web UI가 뜬다. 웹 계정은 admin / eve 로 접속해야 한다.

etc-image-20
etc-image-21

이제부터 테스트 랩을 통해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다음편에서는 Cisco, Arista 등 스위치, 라우터 이미지를 올려서 접속해보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겠다.

 

반응형